Virtual Host 세팅 방법!
일단 우분투의 계정을 하나 더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sudo useradd <username> 으로 계정 생성
2. sudo passwd <username> 이후 비밀번호를 설정
그런 후에 홈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1. sudo mkdir -p <directory>
2. sudo chown -R <username>:<username> <directory>
그 다음에는 그룹을 추가해서 지정해주면 된다.
1. sudo groupadd <groupname>
2. sudo usermod -G <groupname> <username>
3. groups <user
name>
4. id <username>
마지막으로 기본 쉘을 이렇게 설정해주면 된다.
1. cat /etc/passwd | grep <username>
2. 기본 쉘이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sudo usermod -s <shell_file_directory> <username>
이러면 새로운 계정 하나가 생성되었다.
그러면 이제 sudo su <username>으로 들어가서 계정을 바꿔서 전의 게시물인
https://21800180oss2019.blogspot.com/2019/05/blog-post.html 를 똑같이 실행해주면 된다.
참고
https://freestrokes.tistory.com/64
1. sudo useradd <username> 으로 계정 생성
2. sudo passwd <username> 이후 비밀번호를 설정
그런 후에 홈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1. sudo mkdir -p <directory>
2. sudo chown -R <username>:<username> <directory>
그 다음에는 그룹을 추가해서 지정해주면 된다.
1. sudo groupadd <groupname>
2. sudo usermod -G <groupname> <username>
3. groups <user
name>
4. id <username>
마지막으로 기본 쉘을 이렇게 설정해주면 된다.
1. cat /etc/passwd | grep <username>
2. 기본 쉘이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sudo usermod -s <shell_file_directory> <username>
이러면 새로운 계정 하나가 생성되었다.
그러면 이제 sudo su <username>으로 들어가서 계정을 바꿔서 전의 게시물인
https://21800180oss2019.blogspot.com/2019/05/blog-post.html 를 똑같이 실행해주면 된다.
참고
https://freestrokes.tistory.com/64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