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호스팅 서비스 설명!
지난번에 간단하게 index.html도 바꾸어보고 APM도 설치해보았다.
https://21800180oss2019.blogspot.com/2019/04/ubuntu-ubuntu-apm-localhost-index.html
그러면 이번 게시물 위 사이트의 게시물을 읽었다는 전제 하에서 진행할 것이다.
일단 apt에 대해서 알아보자. apt는 Advanced Packaging Tool로 Ubuntu를 포함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패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다. 일단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놓았는데, 이는 슈퍼유저의 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함이다.
아래 사진은 apt-get과 apt-cache에 관련된 명령어들이다.
https://devanix.tistory.com/222
그러면 기본적으로 이제 시작해보자. php는 지난 시간에 이미 설치했으니 넘어가고 일단 지난번에 우리가 만들었던 index.html을 기억하는가? 이번에는 나는 아래처럼 다시 바꾸어보았다.
위 사진들은 /etc/apache2/site-available에 있는 각각 000-default.conf 과default-ssl.conf인데 여기서도 /var/www/html을 /home/<username>/html로 바꾸어 주자. 그런 후에 방금전 생성한 html파일에 index.php를 새로 만들어 준 후
위와 같은 명령어를 해주면,
그러면 localhost에 해당하는 ip를 복사해서 아래에 적고 탭을 누른 뒤에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 나같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했다.
그리고 이제 확인해보려고 ping jun.com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고,
jun.com을 검색엔진에 적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이제 Database 계정을 만들고 wordpress를 간단하게 설치해보자. 일단 mysql을 이미 깔았으니깐 설치는 생략하고 sudo su - root를 해준 후에 mysql -u root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create database <name>;을 입력하면 database가 새로 만들어진다.
나는 jun9985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리고 show database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그러면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_name>.* to '<username>'@'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라고 입력해주면 이제 root 말고도 그냥 user로도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identified by 한 후에 입력한 건 비밀번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제 apt-get install phpmyadmin을 설치하자.
아래 화면이 뜨면 apache2를 선택,
다음에는 yes를 선택,
그리고 phpmyadmin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해주면 된다.
그러고 localhost/phpmyadmin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안 될수도 있다.
그러면 vim /etc/apache2/apache2.conf로 들어가서 마지막 줄에 Include /etc/phpmyadmin/apache.conf라고 입력해준 후에 저장, 그리고 service apache2 restart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그러면 이제는 phpmyadmin을 입력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그리고 방금전 만들었던 database의 비밀번호와 username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들어가진다.
이제 wordpress를 설치해보자. 일단 https://ko.wordpress.org를 입력하고 워드프레스를 열기를 누른다.
다음에 Download .tar.gz를 오른쪽 클릭으로 링크를 복사한다.
다시 터미널 창에 들어가서 유저를 본계정으로 다시 들어간 후에 /home/<username>/html에서 wget https://ko.wordpress.org/latest-ko_KR.tar.gz 로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그 다음엔 아래 사진과 같이 입력하면 압축이 풀어진다.
그리고 이제 ls로 보면 파일 3개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jun.com/wordpres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사진이 뜬다.
Let's go를 클릭한 후에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사용자명, 암호를 입력해야하는데, 방금전에 만든 데이터베이스 이름, username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갈때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복사, 붙여넣기를 하라는 글이 있을텐데 이를 복사한 후에
vim wp-config.php
라고 입력하여 파일 생성뒤에 붙여넣기를 하고 저장하면 된다.
그리하면 이제 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그냥 입력한 후에 설치하기를 누르면 된다.
그러고 로그인 창에 들어가서 로그인 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https://21800180oss2019.blogspot.com/2019/04/ubuntu-ubuntu-apm-localhost-index.html
그러면 이번 게시물 위 사이트의 게시물을 읽었다는 전제 하에서 진행할 것이다.
일단 apt에 대해서 알아보자. apt는 Advanced Packaging Tool로 Ubuntu를 포함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패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다. 일단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놓았는데, 이는 슈퍼유저의 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함이다.
아래 사진은 apt-get과 apt-cache에 관련된 명령어들이다.
그러면 기본적으로 이제 시작해보자. php는 지난 시간에 이미 설치했으니 넘어가고 일단 지난번에 우리가 만들었던 index.html을 기억하는가? 이번에는 나는 아래처럼 다시 바꾸어보았다.
보면 제일 큰 다른점이 <?php phpinfo();?>라고 쓴 점인데, 이 건 php를 웹으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렇게 저장하고
cp index.html index.php
라는 명령어로 동일한 내용의 php 파일을 생성한 후에
service apache2 restart 라고 명령 한 후에 localhost는 아래 사진처럼 변한다.
그런데 계속 /var/www/html에서만 작업하려니깐 너무 힘들기도 하지 않는가? 그래서 이제 우리는 홈 디렉토리도 바꿀려고 한다.
일단, /etc/apache2라는 디렉토리로 간 후에 sudo apt-get install vim을 한다.
(편의상을 위한 거다. 설치를 안 한다면 이제부터 내가 vim을 썻다면 vim 대신에 vi를 쓰면 된다.)
일단 vim apache2.conf를 열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온다. 여기서 대충 짐작할 수 있겠지만 /var/www를 /home/<username>/html로 바꾸면 된다. 물론, 전에 파일 탐색기로 html이라는 파일을 만들어야한다.
나같은 경우는 이렇게 했다.
위 사진들은 /etc/apache2/site-available에 있는 각각 000-default.conf 과default-ssl.conf인데 여기서도 /var/www/html을 /home/<username>/html로 바꾸어 주자. 그런 후에 방금전 생성한 html파일에 index.php를 새로 만들어 준 후
이렇게 바뀐 디렉토리에 있는 index.php가 열린다.
다음에는, 도메인 이름을 세팅해보겠다. 나는 localhost에 뜨는 것을 내 이름을 본딴 jun.com을 입력하면 나왔으면 한다. 그래서 일단 사전검사로 jun.com을 쳐보니
위와 같은 사진이 나왔다. 그러면 일단 vim /etc/hosts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열린다.그러면 localhost에 해당하는 ip를 복사해서 아래에 적고 탭을 누른 뒤에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 나같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했다.
그리고 이제 확인해보려고 ping jun.com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고,
jun.com을 검색엔진에 적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이제 Database 계정을 만들고 wordpress를 간단하게 설치해보자. 일단 mysql을 이미 깔았으니깐 설치는 생략하고 sudo su - root를 해준 후에 mysql -u root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나는 jun9985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리고 show database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그러면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_name>.* to '<username>'@'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라고 입력해주면 이제 root 말고도 그냥 user로도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identified by 한 후에 입력한 건 비밀번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제 apt-get install phpmyadmin을 설치하자.
아래 화면이 뜨면 apache2를 선택,
다음에는 yes를 선택,
그리고 phpmyadmin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해주면 된다.
그러고 localhost/phpmyadmin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안 될수도 있다.
그러면 vim /etc/apache2/apache2.conf로 들어가서 마지막 줄에 Include /etc/phpmyadmin/apache.conf라고 입력해준 후에 저장, 그리고 service apache2 restart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그러면 이제는 phpmyadmin을 입력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그리고 방금전 만들었던 database의 비밀번호와 username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들어가진다.
이제 wordpress를 설치해보자. 일단 https://ko.wordpress.org를 입력하고 워드프레스를 열기를 누른다.
다음에 Download .tar.gz를 오른쪽 클릭으로 링크를 복사한다.
다시 터미널 창에 들어가서 유저를 본계정으로 다시 들어간 후에 /home/<username>/html에서 wget https://ko.wordpress.org/latest-ko_KR.tar.gz 로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그 다음엔 아래 사진과 같이 입력하면 압축이 풀어진다.
그리고 이제 ls로 보면 파일 3개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jun.com/wordpres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사진이 뜬다.
Let's go를 클릭한 후에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사용자명, 암호를 입력해야하는데, 방금전에 만든 데이터베이스 이름, username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갈때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복사, 붙여넣기를 하라는 글이 있을텐데 이를 복사한 후에
vim wp-config.php
라고 입력하여 파일 생성뒤에 붙여넣기를 하고 저장하면 된다.
그리하면 이제 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그냥 입력한 후에 설치하기를 누르면 된다.
그러고 로그인 창에 들어가서 로그인 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