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호스트로 웹 호스팅 설정, CMS 세팅
자 지난번에 새로운 계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지요? (기억이 안 나시거나 못 봤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https://21800180oss2019.blogspot.com/2019/05/virtual-host.html > 그러면 계정을 만드는 방법인 adduser 사용법과 useradd를 사용할 줄 안다는 전제 하에서 이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CMS는 블로그나 게시판이라고 보면 편합니다. Contents Management System이라고 하며, 이 서비스로 유명한 국내 CMS는 Xpress engine, KimsQ 등등이 있고, 해외에서는 우리가 다룰 Wordpress, Drupal 그리고 Joomla가 있죠! 일단은 지난번에는 가상호스팅에 대해서 준비 활동으로 유저를 더하는 방법만 배웠다고 봐도 무관합니다. 그러면 이제 가상호스팅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죠. 1. 가상호스트(Virtual Host)란...? 일단 호스팅의 의미는 서버 컴퓨터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주는 서비스를 말하는 겁니다. 만약에 우리가 인터넷 서버 하나를 만들고 우리가 계속 운영할려면 24시간 계속 컴퓨터가 돌아가야겠죠? 그렇지만 이게 말로는 쉽지 현실적으로는 힘듭니다. 그래서 업체에게 서버를 임대받는 것을 호스팅이라고 봐도 무관합니다. 자 그러면 이제 가상호스트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가상 호스트는 하나의 서버에서 한 개의 사이트(Main Host)외 다른 여러개의 웹 사이트를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그러니깐 서버는 하나지만 유저에 따라서 각각의 웹 사이트들을 보여주는 겁니다. 아래 사진에서 웹 호스팅 서비스가 가상호스트 원리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편합니다. 둘이 비슷한 것 같지만 잘 보시면 서버호스팅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서버이지만 웹호스팅은 다수의 사용자가 한 서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구현할 가상호스트는 웹 호스팅 서비스처럼 한 컴퓨터 갖고 있는 lo...